본문 바로가기

독일 유학&생활 정보/독일 유학생에게5

[실험실 생활] 논문 승인 축하파티 최근에 실험실에서 발표한 논문이 좋은 저널에 승인이 되었다. 그것을 기념하기 위한 축하파티가 열렸다. 코로나가 없었다면 직접 만나서 파티를 했겠지만, 이번에도 역시나 줌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제1 저자는 나의 사수이시기도 한 박사님이시다. 이렇게 좋은 저널에 논문을 낼 만큼 실력 있는 분께 직접 배운다는 것이 감사했다. 파티의 진행 방식은 이랬다. 회의 실에 샴페인과 오렌지 주스, 박사생 라우라가 구워온 케이크가 있었고, 그걸 가져다가 각자의 자리에서 줌으로 파티를 즐기는 것이다. 혹은 집에서. 라우라가 구워온 민트크림 초콜릿 케이크는 정말로다가 맛있었다. 이렇게 금방 깨끗하게 비워버렸다. 밝은 대낮 오후 3시에 시작한 파티는 30-40분 후에 마무리되었다. 알코올이 없는 샴페인이라고 했는데, 나는 저.. 2021. 2. 3.
[실험실 인터뷰(면접)] 교수님은 어떤 질문을 하실까?_인터뷰 질문/준비 방법 최근에 석사 논문을 쓸 실험실을 찾으며 인터뷰를 본 일이 있었다. 가고 싶었던 마음이 컸던 실험실이었던 만큼 준비하는 기간에 불안하기도 하고, 간절하기도 했는데 혹시 나와 같은 상황에 있는 사람들이 도움을 받으면 좋겠다 싶어 준비 과정들과 질문들을 기록에 남기고자 한다. 이전 글에서는 교수님들이 대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질문을 하는지 유형별로 써봤다면, 이번에는 상세하게 어떤 질문들을 하셨는지 어떤 식으로 준비하면 좋은 지에 대해 써 보았다. (박사생 입학을 위한 인터뷰는 또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yeoneobird.tistory.com/141 [실험실 인터뷰(면접)] 교수님 별 인터뷰 유형 석사 논문을 쓸 실험실을 찾던 도중, 운이 좋게도 내가 가장 가고 싶어 했던 랩의 교수님에게서 답장이 왔다. .. 2020. 12. 28.
[실험실 인터뷰(면접)] 교수님 별 인터뷰 유형 석사 논문을 쓸 실험실을 찾던 도중, 운이 좋게도 내가 가장 가고 싶어 했던 랩의 교수님에게서 답장이 왔다. "운이 좋게도" 라고 쓴 이유는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답장조차 주시지 않기 때문이다. 어쨌든 나는 정말 운 좋게 석사 논문 프로젝트가 있다는 답변과 함께 인터뷰 날짜가 잡혔다. 현재는 인터뷰까지 끝난 상황인지만, 준비할 당시에 가장 가고 싶었던 랩이었던 만큼 간절함과 불안감이 컸다. 인터뷰에 대해 너무 두려워하는 것에 앞서 알아야 할 것은 인터뷰가 잡혔다는 것은 거의 70% 이상은 이미 합격했다는 것이다. 내가 보낸 메일, CV 등을 보고,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교수님들은 굳이 인터뷰까지 보는 수고로운 일을 하지 않을 것이다. 아예 답장을 안 해 버리거나 메일로 자리가 없다고 거절할 것이다. 때문에.. 2020. 12. 23.
[실험실 생활] 크리스마스 파티 (feat. zoom) 2020.12.10 원래는 이맘때쯤, 실험실 구성원들이 다 함께 크리스마스 마켓에 가서 따뜻한 크리스마스 와인, 글뤼바인을 마시며 함께 즐기는 시간을 갖는다고 한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가 크리스마스 마켓을 엄두도 못 내게 했다. 화려했던 작년의 크리스마스 마켓과 텅 빈 올해의 광장 그래서 올해의 실험실 크리스마스 파티는 줌으로 하기로 했다. 얼마나 어색할지 상상을 하며 줌에 접속을 했는데, 이 날 스케줄이 있어서 10분 정도 늦게 참석했다. 교수님은 산타에 대한 강의를 하고 계셨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산타의 다양한 종, 표현형, 행동양식 등등ㅋㅋㅋㅋㅋ 그러고는 과학자들 답게 전공 관련 드립을 치기 시작했다. "이건 왜 그런 거야?" "그건 너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로 연구하면 되겠다."ㅋㅋㅋㅋㅋㅋㅋㅋ 산.. 2020. 12. 14.
[Student assistant job 인터뷰] 이공계 실험실 학생 알바 면접 내가 나중에 참고하려고 남기는 기록. 독일에는 학생들이 실험실에서 알바식으로 일을 할 수가 있는데, student assistant job, HIWI 또는 학력에 따라 SHK, WHK 이렇게 불린다. 이 student assistant job 인터뷰를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 지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써 보겠다. 일단,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중요하고, 가장 당연한 것 중 하나는 그 사람들은 CV를 바탕으로 질문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CV의 내용, 그 중에서도 교육, 실험실 경험은 꼭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1. 실험실 경험 이야기하기, 할 수 있는 실험 기법은 상세하게 실험실에서 일하거나 프로젝트를 해 본 경험이 있다면, 정확히 무슨 주제로 연구를 했는지, 무엇을 했는지, 무슨 실험 기법을 썼는지 .. 2020. 9. 29.